'경제학/경제성장, 생산성, 혁신'에 해당되는 글 21건
정체된 기술의 혁신 - 저성장의 길을 걷게 될 세계경제정체된 기술의 혁신 - 저성장의 길을 걷게 될 세계경제
Posted at 2012. 9. 1. 00:27 | Posted in 경제학/경제성장, 생산성, 혁신인터넷 상에서 "천조국의 위엄"이라는 제목으로 널리 퍼진 1900년대 초반의 뉴욕.
사람들은 1900년대 초반의 이 사진을 보고, "역시 미국은 대단해 ㄷㄷ"를 외치지만,
경제학자들은 이 사진을 보고 "이제 고성장 시대는 지나갔다." 라는 이야기를 한다.
왜 그럴까?
경제성장은 실질GDP의 증가를 의미하는데, 실질GDP의 증가를 위해서는 "노동생산성"의 향상과 "경제활동인구"의 증가가 필요하다.
일인당 실질 GDP = 평균 노동생산성 x 총인구 중 취업자 비율
Y/POP = Y/N x N/POP
이때, 노동생산성의 향상을 위해서 필요한 것 중 하나가 "기술의 발달"
"아니, 기술은 21세기 들어 더더욱 발전하고 있는데 무슨 소리인가?" 라는 물음이 나올 수 있지만, 노동생산성과 삶의 질을 근본적으로 향상시킨 기술은 2차 산업혁명 이후 등장하지 않고 있다.
Robert Gordon 교수 쓴 흥미로운 논문을 소개.
Robert Gordon. 2012. "Is U.S. Economic Growth Over? Faltering Innovation Confronts the Six Headwinds". <NBER>
1차 산업혁명 (증기기관, 철도) : 1750~1830
2차 산업혁명 (전기, 연소엔진, 상수도시설, 실내화장실, 통신시설, 오락, 화학, 석유) : 1870~1900
3차 산업혁명 (컴퓨터, 인터넷, 모바일폰) : 1960~현재
2차 산업혁명은 다른 것보다 더 중요하다. 2차 산업혁명은 지난 80년-1890~1972-동안의 급격한 생산성 성장을 이끄는데 최고의 공을 세웠다.
(IR #1 (steam, railroads) from 1750 to 1830;
IR #2 (electricity, internal combustion engine,
running water, indoor toilets, communications, entertainment, chemicals, petroleum) from 1870 to
1900; and
IR #3 (computers, the web, mobile phones) from 1960 to present. It provides evidence
that IR #2 was more important than the others and was largely responsible for 80 years of relatively
rapid productivity growth between 1890 and 1972.)
(PDF파일 기준 - 2 페이지)
Robert Solow 교수의 연구 이후, 경제성장은 영원히 지속되는 연속적인 과정으로 간주되어왔다. 그러나 1750년도 전까지만 하더라도 경제는 성장하지 않았었다. 이러한 사실은, 지난 250년 동안 급속히 이루어졌던 경제성장은 인류 역사에 있어 독특한 사건이라는 것을 잘 보여준다. 미래에도 비슷한 일이 벌어질지는 보장 못한다.(Since Solow’s seminal work in the 1950s, economic growth has been regarded as a continuous process that will persist forever. But there was virtually no economic growth before 1750, suggesting that the rapid progress made over the past 250 years could well be a unique episode in human history rather than a guarantee of endless future advance at the same rate.)3 페이지
1870-1900년도 사이에 발생한 2차 산업혁명은 삶의 질의 큰 차이를 만들어냈다.1879년 말, 석달 사이에 전구와 내부연소기관이 발명되었다. 집 안에 신선한 물을 공급하는 상수도시설의 숫자는 30년 사이에 10배로 증가했다. 1880년대에 전화, 축음기, 활동영상이 발명되었다. 2차 산업혁명의 혜택은 엘리베이터·전자기기·소비재부터 자동차·트럭·비행기, 고속도로·교외도시·슈퍼마켓, 하수구 같은 부수적인 발명까지 포함한다. 이 모든 것들이 1929년도 안에 만들어졌다.텔레비전, 에어컨, 주간 고속도로 같은 추가적인 발명과 그것의 영향은 1970년도까지 계속되었다. 2차산업혁명은 매우 중요한 사건이고, 그것의 영향은 100년에 걸쳐있다.(The second industrial revolution (IR #2) within the years 1870-1900 created within just a few years the inventions that made the biggest difference to date in the standard of living.Electric light and a workable internal combustion engine were invented in a three-month period in late 1879. The number of municipal waterworks providing fresh running water to urban homes multiplied tenfold between 1870 and 1900. The telephone, phonograph, and motion pictures were all invented in the 1880s. The benefits of IR #2 included subsidiary and complementary inventions, from elevators, electric machinery and consumer appliances; to the motorcar, truck, and airplane; to highways, suburbs, and supermarkets; to sewers to carry the wastewater away. All this had been accomplished by 1929, at least in urban America, although it took longer to bring the modern household conveniences to small towns and farms.Additoinal “follow-up” inventions continued and had their main effects by 1970, including television, air conditioning, and the interstate highway system. The inventions of IR #2 were so important and far-reaching that they took a full 100 years to have their main effect.)5-6 페이지
- 제1차 산업혁명이 일어난 1750년대 이전까지만 하더라도, 인류에게 경제성장이란 것은 존재하지 않았다.
- 제2차 산업혁명이 일어난 1870년 이후, 그 파급효과 지속된 1970년대까지 인류는 급속한 경제성장을 경험하게 되었다.
2차 산업혁명 때 벌어진 "위대한 발명"들은 사람들의 삶과 노동환경을 아주 획기적으로 변화시켰다. 1870년 이후 100년동안 그 영향은 계속되었다. 2차 산업혁명 때 발명된 것들은 크게 5가지 그룹으로 나눌 수 있는데(1) 전기와 그 파급효과(2) 내부연소기관, 그리고 고속도로의 발전(3) 상수도시설, 중앙난방(4) 석유, 화학, 플라스틱, 약품 등과 관련된 분자구조 재배열(5) 1885년과 1900년 사이에 발명된 통신·오락수단 - 전화, 축음기, 사진기, 라디오, 활동영상(The “Great Inventions” of the Second Industrial Revolution (IR #2) utterly changed living and working conditions, particularly in urban America, within half a century and their full impact was largely complete during the century following 1870. The inventions can be grouped into five categories:(1) electricity and all its spin-offs;(2)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all its subsidiary improvements right up to the interstate highway system;(3)running water, indoor plumbing, and central heating;(4) rearranging molecules, including everything to do with petroleum, chemicals, plastics, and pharmaceuticals;and finally(5) the set of communication and entertainment devices invented within the remarkably short period between 1885 and 1900, including the telephone, the phonograph, popular photography, radio, and motion pictures.)10 페이지
여기까지는 평범한 이야기다. 2차 산업혁명이 인류의 삶을 바꿔놓았다는 이야기. 누구나 다 아는 이야기다.
핵심은 이제부터.
교통수단의 속도변화는, 경제성장은 일회성 이벤트에 불과하다는 대담한 주장을 잘 설명해준다. 1830년 까지만 하더라도, 승객과 화물의 이동속도는 말과 배의 속도에 의해 제한되었었는데, 1958년 보잉707기가 도입될때까지 꾸준히 증가했다. 그 이후로, 이동속도는 전혀 변하지 않았다. 사실 오늘날 비행기는 연료보존을 위해 1958년보다 느리게 비행한다.(The audacious idea that economic growth was a one-time-only event has no better illustration than transport speed. Until 1830 the speed of passenger and freight traffic was limited by that of “the hoof and the sail” and increased steadily until the introduction of the Boeing 707 in 1958. Since then there has been no change in speed at all and in fact airplanes fly slower now than in 1958 because of the need to conserve fuel.)4 페이지
2차 산업혁명의 일반적인 특징은 획기적인 발전이 단 한번 일어났다는 것이다. 1세기 동안 이동속도는 말에서 제트 비행기로 증가했다. 그러나 그러한 발전은 다시는 일어나지 않고 있다. 1870년에, 겨울에는 몹시 춥고 여름에는 숨이 막힐 정도로 더웠던 실내온도는 지금은 22도 근처에 있다. 그러나 그러한 발전은 다시는 일어나지 않고 있다. 인구 75%가 시골에서 살던 미국이 인구의 80%가 도시에서 살게 되었지만, 그러한 발전은 다시는 일어나지 않고 있다.1970년 이후, 생산성의 증가는 눈에 띄게 감소했다. 이유는 분명하다. 2차 산업혁명이 가지고 온 위대한 발명과 그 파급효과의 일회성 혜택이 발생했었고, 그러한 일이 이제는 두 번 다시 발생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2차 산업혁명의 위대한 발명을 따르는 부수적인 발전이 발생하긴 했었다. (그러나) 1970년 이후의 이러한 발전들은 (단지) 2차 발전이다. 근거리 비행기, 교외지역까지의 고속도로 확장, 중앙 냉방으로의 변환 같은...(A common feature of this innovative revolution was that many of the improvements could only happen once. Speed of travel was increased from that of the horse to the jet plane in a century but could not happen again. The interior temperature that in 1870 alternated between freezing cold in the winter and stifling heat in the summer reached a year-round 72 degrees Fahrenheit (22C), and that could not happen again. The U.S. was transformed from 75 percent rural to 80 percent urban, and that could not happen again.The growth of productivity (output per hour) slowed markedly after 1970. While puzzling at the time, it seems increasingly clear that the one-time-only benefits of the Great Inventions and their spin-offs had occurred and could not happen again. Diminishing returns set in, and eventually all of the subsidiary and complementary developments following from the Great Inventions of IR #2 had happened. All that remained after 1970 were second-round improvements, such as developing short-haul regional jets, extending the original interstate highway network with suburban ring roads, and converting residential America from window-unit air conditioners to central air conditioning.)12-13 페이지
지난 10년간 (인류는) 노동력을 절감하는 혁신에 집중하지 않아다. 인류가 이전에 해왔던 똑같은 것들, 오락과 통신 기기의 성공에 초점을 맞추었다. 단지 지금은 더 작고 더 편리할 뿐이다. 아이팟은 CD 워크맨을 대체했고, 스마트폰은 피쳐폰을 대체했고, 아이패드는 전통적인 PC와 경쟁한다. 이러한 혁신들은 열광적으로 받아들여졌다. 그러나 이러한 혁신은 인간 노동을 기계로 바꾼 것과 같은 역사적 변환의 연속이 아니라 그저 놀이를 위한 기회를 제공했을 뿐이다.(Attention in the past decade has focused not on labor-saving innovation, but rather on a succession of entertainment and communication devices that do the same things as we could do before, but now in smaller and more convenient packages. The iPod replaced the CD Walkman; the smartphone replaced the garden-variety “dumb” cellphone with functions that in part replaced desktop and laptop computers; and the iPad provided further competition with traditional personal computers. These innovations were enthusiastically adopted, but they provided new opportunities for consumption on the job and in leisure hours rather than a continuation of the historical tradition of replacing human labor with machines.)15~17 페이지
- 1996년-2004년 사이에 발생한 IT 혁명은 "신경제 New Economy"로 불렸지만, 그것은 단지 버블임이 드러나게 되었다. 제2차 산업혁명의 파급효과가 미친 1891년-1972년 동안, 인류는 높은 노동생산성 향상을 달성했지만 그것을 대체할 만한 기술혁명이 일어나지 않고 있다.
이 논문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 이제 나온다.
너는 A와 B 둘 중에 선택을 해야한다.A : 당신은 아마존에 접속할 수 있는 윈도우 98 노트북을 포함하여, 2002년산 전자기기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당신은 상수도시설과 실내 화장실을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당신은 2002년 이후로 발명된 어떤 것도 사용할 수 없다.B : 당신은 지난 10년간 발명된 모든 것, 페이스북·트위터·아이패드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당신은 상수도시설과 실내 화장실을 포기해야 한다. 당신은 차를 이용하여 물을 집으로 운반해야 한다. 비가 내리는 새벽 3시에도 당신은 진흙길을 걸어서 바깥에 있는 화장실로 가야한다.당신은 어떤 것을 선택하겠는가?(You are required to make a choice between option A and option B. With option A you are allowed to keep 2002 electronic technology, including your Windows 98 laptop accessing Amazon, and you can keep running water and indoor toilets; but you can’t use anything invented since 2002.Option B is that you get everything invented in the past decade right up to Facebook, Twitter, and the iPad, but you have to give up running water and indoor toilets. You have to haul the water into your dwelling and carry out the waste. Even at 3am on a rainy night, your only toilet option is a wet and perhaps muddy walk to the outhouse. Which option do you choose?)16 페이지
이 글을 읽고도, "그래서 도대체 무슨 이야기를 하고 싶은건데?" 라는 말이 나올 수도 있는데...
그러니까 "경제성장과 생산성 향상을 돕는, 기술의 획기적인 혁신은 더 이상 일어나지 않고 있다." 라는 것이다.
1900년대 초반의 뉴욕과 지금의 뉴욕은 물론 다르다.
그런데 큰 틀에서 보면 그때나 지금이나 삶의 양식이 비슷하다.
콘크리트 건물, 실내 화장실, 상수도시설, 자동차, 비행기, 전구, 실내난방.
Charley James 라는 한 네티즌은 이 논문을 보고
3차 산업혁명은 일부 사람들의 삶을 좀 더 즐겁게 만들 수 있다. 그러나 2차 산업혁명은 모두의 삶을 발전시켰다. 나는 할머님이 하시던 이야기를 기억할 수 있는데, 아파트로 이사하고 상수도시설이 설치된 것은 정말 마법 같은 일이었다고 하셨다.나는 스마트폰이나 스크린이 더 커진 TV로 인해, 자신의 삶이 마법 같이 되었다는 이야기를 들어본 적이 없다.(IR3 possibly made life more fun for some people but IR2 improved life for everyone it touched. I can recall one of my grandmothers talking about how magical it was to move into an apartment with indoor plumbing; I've never heard anyone say how their life was made "magical" because of a new smartphone or a TV with a bigger screen.)
좀 더 논리적인 글을 원한다면,
기술은 넓은 의미에서 생산성 성장에 결정적인 요소이다. 사실상 1950년대에 MIT의 로버트 솔로(Robert Solow)가 이 방면의 초창기 연구를 내놓은 이래, 장기 성장 문제의 분석가들은, 기술이 끊임없이 진보하지 않으면 장기적으로 경제 성장은 서서히 멈출 것이며 기술의 끊임없는 진보야말로 생산성 증가의 주요 원천이라는 점을 깨닫고 있었다.생산성 둔화에 관한 기술적 측면의 설명은, 성장이라는 사활적인 엔진에서 증기가 다 빠진 것은 미국 경제의 기본 구조에 결함이 있어서가 아니라 단지 전후 호경기의 토대였던 기술들이 거의 한계에 다다랐기 때문일 뿐이라는 입장이다. (...)그러나 "잠깐,"하고 여기서 다음과 같이 반박하고 싶은 독자가 있을지 모른다. "지난 20년간은 급격한 기술 진보의 시대가 아니었는가? 개인용 컴퓨터, 팩시밀리, 이동 전화, VCR이 있지 않은가? 그런데도 어떻게 아이디어가 고갈되었다고 주장할 수 있는가?"좋은 지적이지만, 답변할 말은 있다. 경제사학자들은 새로운 기술이 생산성과 생활 수준에 중대 영향을 미치는 데 매우 오랜 시간이 걸리는 것이 보통이라고 본다. 예컨대, 산업 혁명을 일으켰던 결정적인 기술 혁신은, 재론의 여지가 있기는 하지만 1764년 하그리브스가 발명한 체니 방적기였다. 그렇지만 영국의 전반적인 산업화는 1810년경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시작되었고, 실질 임금은 1840년대에 와서야 두드러지게 상승하기 시작하였다. (...)이와 같이 시간의 지체가 발생하는 원인은 기술이 고립되어 사용될 때에는 충분히 영향력을 발휘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즉 하나의 기술은 널리 응용되고 또 다른 기술들과 상호 작용을 할 때라야만 그 잠재적 진가가 발휘 될 수 있다. 자동차는 희귀품일때는 부자의 노리개이지만, 포장 도로가 거미줄처럼 깔리고 주유소와 수리점이 곳곳에 들어서면, 그리고 거대한 백화점이 시내 번화가가 아니라 근교의 한적한 곳에 들어서면 훨씬 일반화된다. 이렇게 순환성이 존재하는 것이다. 하나의 기술이 생산에 적극 활용될 수 있도록 그 기술을 사용해 보고 또 보강해 주는 조직적인 과정이야말로 그 기술이 널리 사용되게 하는 원인이자 결과이다. 그러므로 새로운 기술은 그것이 아무리 대단하다고 해도 수십 년 동안은 피상적인 효과만 있을 뿐이며, 최소 한도의 일반화에 도달해야 비로소 꽃필 수 있는 것이다.(...)요점은 1960년대 말에 이르러 이와 같은 기술이 대부분 한계에 다다르기 시작하였다는 것이다. 사실상 우리가 여전히 현대적이라고 생각하는 것들 중 상당 부분이 도입된 지 벌써 20년도 넘는다. 예컨대, 아직까지도 여객기의 대명사인 보잉 747기가 도입된 것이 1969년이라면 놀랍지 않은가. 오늘날 기종이 개량형이기는 해도 근본적으로 달라진 것은 없다.(...)이 점을 러셀 베이커는 더욱 인상적인 말로 지적하고 있다. "1940년으로 돌아가 보면, 1940년은 그저 어제 같을 뿐인데, 1890년만 해도 중세 암흑 시대 같은 것은 왜 일까?"폴 크루그먼. 1997. 『경제학의 향연』. 82-84 쪽
"경제가 어떻게 하면 성장을 하는지", "왜 어떤 나라는 경제성장에 성공하고 어떤 나라는 실패하는지"에 대해서는 아무도 모른다. 그렇기 때문에, 이것도 "세계경제가 1890년-1972년에 보여줬던 폭발적인 성장을 보여주지 못하고, 왜 저성장의 길을 걷는지"에 대한 하나의 가설일 수 있지만, 이와 비슷한 관점을 여러 경제학자들이 내비쳐 왔다.
한 가지 확실한 건, 앞으로 세계경제는 저성장의 길을 걷게 될 것이라는 사실.
현재의 기성세대는 다음 세대가 이전 세대보다 가난하게 사는 것을 지켜보는 첫 번째 세대가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컨설팅 기업 모니터그룹 스티븐 제닝스 CEO가 말하는 '저성장 시대의 생존 비법'". <조선일보>. 2012.07.06
<추가>
Tyler Cowen의 주장
"Stagnation or inequality-Has the American economy exhausted the easy sources of growth?". 2011.03.03. <The Economist>
Robert Gordon의 주장을 반박하는 글
"Productivity and growth-Was that it?". 2012.09.08. <The Economist>
"Growth-Everything's amazing and nobody's happy". 2012.09.11. <The Economist>
'경제학 > 경제성장, 생산성, 혁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양사태로 바라보는 1997년 한국과 2013년 한국 (0) | 2013.10.13 |
---|---|
박근혜정부 세제개편안-한국경제 구조개혁-저부담 저복지에서 고부담 고복지로 (3) | 2013.08.27 |
한국의 경제성장 - 미국의 지원 + 박정희정권의 규율정책 (0) | 2013.08.23 |
개발시대의 금융억압 Financial Repression 정책이 초래한 한국경제의 모습 (0) | 2013.08.20 |
한국의 경제성장은 "부패corruption"와 "금전정치money politics" 덕분? (5) | 2013.08.18 |